FIBA 아메리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아메리컵은 1980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처음 개최된 아메리카 대륙의 농구 국가대항전이다. 초기에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미국은 7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푸에르토리코, 캐나다는 모든 대회에 참가했다. 2017년 대회부터 FIBA 아메리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최우수 선수(MVP), 올-토너먼트 팀, 득점왕 등의 개인 수상도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양궁 선수권 대회
아시아 양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지역 양궁 실력을 겨루는 격년제 대회로, 리커브 종목에서는 대한민국이, 컴파운드 종목에서는 대한민국과 인도가 강세를 보이며, 2025년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23번째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 198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수영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지역 수영 발전과 교류를 목표로 시작되어 아시아 각 도시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국제 수영 대회이며, 성인 선수권 대회 외에 에이지 그룹, 마스터즈 선수권 대회도 함께 열린다. - 농구 대회 - 유로리그
유로리그는 1958년 FIBA 유럽 챔피언스컵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고의 프로 농구 클럽 대회가 되었으며, 리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18개 팀이 참가하며, FIBA와의 갈등을 겪었지만 독자적인 리그로 성장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농구 대회 - 윌리엄 존스컵
윌리엄 존스컵은 FIBA 사무총장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념하기 위해 1977년 시작되어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농구 초청 토너먼트이며,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룬다.
FIBA 아메리컵 | |
---|---|
대회 정보 | |
종목 | 농구 |
주최 | FIBA |
첫 대회 | 1980년 |
참가 팀 수 | 12 |
대륙 | FIBA 아메리카 (아메리카) |
최근 대회 | 2025년 FIBA 아메리컵 예선 |
최다 우승 팀 | (7회 우승)}} |
웹사이트 | FIBA 아메리카 |
관련 대회 | 센트로바스켓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역대 대회 정보 | |
가장 최근 우승팀 | (3번째 우승)}} |
이전 명칭 | 아메리카 대륙 토너먼트 FIBA 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2. 역사
FIBA 아메리컵은 1980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3] 초기에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토너먼트 방식이 도입되었다.
미국은 1992년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베네수엘라를 127-8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3] 이후 7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2017년 대회부터는 FIBA 아메리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개최 연도 | 개최지 | width=1% rowspan=39| | 결승전 | width=1% rowspan=39| | 3위 결정전 | ||||
---|---|---|---|---|---|---|---|---|---|
우승팀 | 스코어 | 준우승팀 | 3위 | 스코어 | 4위 | ||||
1980 | (산후안) | 라운드 로빈 | 라운드 로빈 | ||||||
1984 | (상파울루) | 라운드 로빈 | 라운드 로빈 | ||||||
1988 | (몬테비데오) | 101–92[3] | 87–70 | ||||||
1989 | (멕시코 시티) | 89–80 | 158–124 | ||||||
1992 | (포틀랜드) | 127–80 | 93–91 | ||||||
1993 | (산후안) | 109–95 | 98–91 | ||||||
1995 | (네우켄) | 87–86 | 97–77 | ||||||
1997 | (몬테비데오) | 95–86 | 76–75 | ||||||
1999 | (산후안) | 92–66 | 103–101 | ||||||
2001 | (네우켄) | 78–59 | 102–95 | ||||||
2003 | (산후안) | 106–73 | 79–66 | ||||||
2005 상세 | (산토도밍고) | 100–88 | 93–83 | ||||||
2007 상세 | (라스베이거스) | 118–81 | 111–107 | ||||||
2009 상세 | (산후안) | 61–60 | 88–73 | ||||||
2011 상세 | (마르델플라타) | 80–75 | 103–89 | ||||||
2013 상세 | (카라카스) | 91–89 | 103–93 | ||||||
2015 상세 | (멕시코 시티) | 76–71 | 87–86 | ||||||
2017 상세 | 81–76 | 79–65 | |||||||
2022 | Brazil | 75–73 | 84–80 | ||||||
2025 |
FIBA 아메리컵의 국가별 메달 획득 수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미국 | 7 | 1 | 1 | 9 |
2 | 브라질 | 4 | 3 | 4 | 11 |
3 | 푸에르토리코 | 3 | 5 | 2 | 10 |
4 | 아르헨티나 | 3 | 6 | 5 | 14 |
5 | 베네수엘라 | 1 | 1 | 1 | 3 |
6 | 멕시코 | 1 | 0 | 1 | 2 |
7 | 캐나다 | 0 | 2 | 4 | 6 |
8 | 우루과이 | 0 | 1 | 0 | 1 |
9 | 도미니카 공화국 | 0 | 0 | 1 | 1 |
2. 1. 역대 대회 결과
(산후안)(상파울루)
(몬테비데오)
(멕시코 시티)
(포틀랜드)
(산후안)
(네우켄)
(몬테비데오)
(산후안)
(네우켄)
(산후안)
상세
(산토도밍고)
상세
(라스베이거스)
상세
(산후안)
상세
(마르델플라타)
상세
(카라카스)
상세
(멕시코 시티)
상세